카테고리 없음

CPI뜻, 쉽게 설명, 한계점, 의미, 미국 CPI 중요한 이유

Carrie28 2023. 6. 14. 21:00
반응형

CPI (Consumer Price Index), 즉 소비자 물가지수는?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를 통해 경제의 인플레이션 상태와 가계의 생활비 변화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면, 

2010년에는 붕어빵 2개를 2,000원에 샀다면 2023년에는 붕어빵 2개에 4,000원을 지불해야 한다고 해봅시다

물가는 올랐고, 화폐가치는 떨어졌죠?

이 같이 일상생활에서 소비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얼마나 올랐는지, 얼마나 내렸는지 알 수 있는 지표가 바로 이 소비즈 물가지수입니다

 

 

2022~2023

 

CPI는 일련의 단계를 거쳐 계산됩니다.

우선, 대표적인 상품과 서비스의 집합인 "시장 바구니"가 정의됩니다.

 

한마디로 우리가 실제로 구입한는 품목을 조사대상으로 삼는 것이죠.

이 조사 대상 장바구니에 담길 품목들을 결정하고 직접 품목의 가격을 조사합니다

 

이 바구니에는 일상 생활에서 자주 구입하는 항목들이 포함됩니다.

 

CPI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통계청이 소비자들이 실제로 구매하는 품목을 조사합니다.

예를 들어, 사과, 배, 삼각김밥, 썬크림, 청바지, 택시비, 예방접종비 등 다양한 품목과 서비스를 대상으로 조사합니다.

이 품목들의 가격을 조사하여 소비량과 함께 고려하고, 이전 기간과 비교하여 물가의 상승 또는 하락을 계산합니다.

하지만 소비자물가지수에는 몇 가지 한계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조사 대상 품목이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경우에는 이전과 비교하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품목의 가격이 급등하면 사람들은 대체품을 찾거나 해당 제품을 구매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소비자 반응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소비자물가지수는 정확한 수치를 나타내기보다는 물가 상승 및 하락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더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한다면 같은 돈으로 더 적은 양의 물품을 구입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소비자의 경제적 여건이 어려워진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2020년과 2023년을 비교하여 소비자물가지수와 물가 상승률을 살펴보겠습니다.

2020년 소비자물가지수를 100으로 가정하고, 2023년의 소비자물가지수를 알아보겠습니다. 만약 2023년의 소비자물가지수가 110이라면, 이를 바탕으로 물가 상승률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물가 상승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물가 상승률 = ((2023년 소비자물가지수 - 2020년 소비자물가지수) / 2020년 소비자물가지수) * 100

예를 들어, 2023년의 소비자물가지수가 110이라고 가정하면,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물가 상승률 = ((110 - 100) / 100) * 100 = 10%

이 경우, 2020년 대비 2023년의 물가는 10% 상승한 것을 의미합니다. 

즉, 동일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2023년에는 2020년보다 더 많은 금액을 지불해야 합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경제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개인이나 기업은 가격 변동에 따라 자금 계획을 조정하거나 소비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와 중앙은행은 경제 정책 수립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CPI 가 중요한 이유

  1. 경기수준을 파악할 수 있기 대문
    • 경제 상황을 판단하는 거시경제지표의 하나로 활용됩니다
  2. 인플레이션 지표
    • 물가상승은 인플레이션의 정도를 가늠하는 경제지표로 쓰일 수 있습니다
    • 물가상승과 글로벌 경제가 최대 관심사이다 보니 미국의 CPI 발표에 크게 주목하는 것입니다
    •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왜 중요한지 한번 더 설명할게요
      • 힌극과 미국은 무역을 많이 하고, 미국이 한국의 주요 수출 시장이며 우리 또한 미국에서 수입을 많이 하죠
        • 소비자물가지수가 오르면 미국 내 소비가 줄고, 그 결과로 한국의 수출 제품에 대한 수요도 줄겠지요
        • 또 미국의 물가상승은 한국으로 들어오는 수입품의 가격도 올립니다
      • 미국의 경기변동은 글로벌 경제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지요
        •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은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압력을 높일 수 있고
        • 한국 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 소비자 물가지수는 환율과 관련이 있지요
        •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은 미국의 중앙은행 금리인상을 야기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는 미국의 달러가치를 높여 한국 원화 대비 달러의 환율이 올라감을 의미하고
        • 한국의 수출 경쟁력을 약화 시키고
        • 외국인 투자의 한국으로의 유입을 어렵게 할 수 있습니다 
        •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중앙은해이 금리를 인상시키면 외국의 자금이 미국으로 유입되지요(높은 이자가 매력적이잖아요)
      • 통화가치 상승
        •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하면 해당 통화인 미국의 달러가치는 하락하는 것이지요. 
        • 외국 투자자들은 통화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낮은 국가로 자금을 이동시키겠지요
        • 따라서 미국에서 소비자 
      • 글로벌 경기와 투자에 영향을 미칩니다 
      • 미국의 GDP의 약 70&를 차지하는 민간 소비의 실제 주체인 소비자의 행동을 파악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 또한 달러 인플레이션에 따른 달러 강세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이는 곧 금리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국내 증시와 무역에도 영향을 상당히 끼치게 될 것이기 때문에 미국 CPI 가 특히 중요합니다
  3. CPI 보는 법
    • 물가가 당연히 높을 수록 수치가 올라가죠
    • 중요한 건 전년 동기 전월 동기 대비하여 상승폭을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가파르게 오르면 인플레이션이 심한 상황이겠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