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네이버 챗GPT 대항마, 생성형AI 확산, 대화형 검색, 토종검색엔진

Carrie28 2023. 5. 24. 21:08
반응형

챗GPT 등 생성형 AI 확산 '- 대화형 검색의 활성화 속도가 빠릅니다

네이버 역시 '서치 GPT' 출시 준비중

검색 전쟁의 축이 된 AI

검색 엔진 시장을 뒤흔드는 키워드는?

AI

- 사용자의 검색기록 등을 토대로 관심사 파앍

- 이에 따른 맞추형 결과를 보여줌

- 사용자가 1억명이 면 1억 가지 검색 결고 가능

검색 형태에 변화 발생 

- 의도에 따라 여러 플랫폼을 동시에 이용하는 멀티호밍이 일반화 되는 중

- 플랫폼별로 제공하는 정보가 제각각

검색엔진으로 

- 소셜미디어

- 동영상 플랫폼

사용

 

정보탐색을 플랫폼으로 10대의 85.4%가 유튜브를 꼽았다고 하니, 이제는 블로그나 책보다는 유튜브에서 정보를 찾는 것이 당연해 진 것 같아요

 

Z 세대의 40% 

- 점심 먹을 곳 서치할 때 인스타 , 틱톡 > 구글

 

생성 AI 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 쓸모없는 검색 결과를 걸러내는 수고로음을 덜어줍니다

질문을 던지면 바로 순식간에 꽤 괜찮은 문장으로 답해줍니다

 

네이버의 생존정략은?

- AI 기반 검색 고도화 프로젝트

- 연내 생성 AI 기반 대화형 검색서비스 서치 GPT 를 출시할 계획입니다

- 단순 검색 대신 검색화면에서 이미지, 쇼트폼, 동영상 등 다양한 콘테느를 개인 맞춤형을 제공할 예정

주요 검색 사이트의 정유율 변화

 

카카오?

- 포털 다음을 사내독립법인으로 분리 

- why? 신속하고 독자적인 의사 결정이 가능한 조직 체계로 구성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 점차 떨어지는 점유율의 돌파구를 찾으려는 강수로 보입니다

- 올해 기업용 생성형 AI 챗봇도 출시할 계획입니다

 

검색엔진과 연계해 콘텐츠를 내보내는 업체들의 대안은?

- 자체 홈페이지에 들어오지 않고 챗GPT 로 콘텐츠를 소비하는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려의 목소리는?

- 생성 AI 의 부정확성으로 가짜 정보의 범람이 문제 될 수 있읍니다

- 생성 AI 업체가 데이터를 마음대로 가져가지 못하게 해야한다는 주장에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하긴 다 만들어 놓은 컨텐츠를 마음대로 컨텐츠를 마음대로 가공한다고 자기것이 되는 것도 아니고, 만들어진 raw 데이터 없이 customaized 된 컨텐츠 제작 자체가 불가능 하니까요)

 

이러다가 야후, 라이코스, 엠파스 처럼 국내 검색엔진이 사라남지 못할까 걱정입니다

 

현재 세계에서 검색엔진을 보유한 나라는 중국(바이두), 러시아(얀덱스), 한국(네이버, 다음) 뿐입니다

 

 

 

 

 

 

 

반응형